♥♡ 지방간 얕보다간 큰일난다 ♡♥
최근 들어 비알코올 지방간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잦은 음주와 스트레스 서구식 식습관으로
당뇨나 비만 인구가 느는 것이 문제다
흔히 듣는 '간이 부었다.'고 하듯이
지방간은 간세포에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이를 방치하면
간세포에 염증이 생기거나 파괴되어 간경화로 진행된다
정상적인 간은 약 1∼1.5㎏이지만
여기에 지방이 쌓이면 노란 기름기를 띠면서 팽창한다
간에 쌓인 지방은 노화의 원인인 과산화지질로 바뀌는 데다
세포에 축적된 지방이 간 속의 미세혈관과 임파선을 압박
산소와 영양공급을 차단해 간의 활동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지방간염이 생기며
이 중 10∼15% 는 간경화를 거쳐 결국 간암에 이르게 된다
●지방간 3대 원인 '복부비만·과음·당뇨병'●
지방간은 음주가 원인인 '알코올성'과 비만·
인슐린 대사장애가 원인인 '비알코올성'으로 나뉜다
평소 술을 즐기는 사람의 75% 정도가 지방간을 가졌으며
이 상태에서 계속 술을 마시면 알코올 간경변으로 진행하게 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 특히 내장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내장지방은 대량의 유리지방산을 간으로 유입시키는데
이 유리지방산이 중성지방으로 쌓여 지방간이 된다
당(糖)도 마찬가지다. 당은 간에서 중성지방으로 변했다가
한도를 넘으면 간에 쌓여 지방간을 만든다
결국 내장지방과 인슐린 저항성 고혈당이 상관관계를 형성해
지방간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 밖에 여성호르몬제나 스테로이드(부신피질호르몬) 등
약물 때문에 지방간이 올 수도 있다
이런 지방간은 질병의 중요한 징후다
지방간이 심한 사람은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일반인보다 최대 4배나 높으며 목의 경동맥에 동맥경화가 생겨
뇌졸중 발생 위험도 그만큼 높아진다
●절주와 체중감량, 운동이 최선●
지방간은 생활습관만 바꿔도 대부분 정상화할 수 있다
치료와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주와 식이요법, 운동이다
음주자의 46%, 비만한 사람의 75%가 지방간을 가졌지만
음주로 인한 지방간은 금주와 식이요법만으로도 대부분 호전된다.
식이조절을 위해 식사는 위장의 80%만 채우는 게 좋다
50세 전후에는 기초대사량이 10~20대보다 200㎉ 정도 떨어지기 때문에
약간 모자란 듯 먹는 게 좋다.
또 지질보다 당질(탄수화물)이 지방을 축적시키는 주요인이므로
밥이나 빵·면류·과자류를 절제해 탄수화물 섭취량을 줄여야 한다
탄수화물 섭취량을 줄이면 비알코올 지방간의 원인인
당뇨병과 고지혈증 개선에도 좋다.
체중 감량은 체중의 10%를 3∼6개월 내에
서서히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갑자기 체중을 줄이면 오히려 지방간을 악화시킬 수 있다
적정 체중은 자신의 키(㎝)에서 100을 뺀 값에 0.9를 곱한 값이다
운동도 중요하다.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해 지방간은 물론
혈압·고지혈증·혈당 개선에 도움이 된다
빠르게 걷기·달리기(러닝머신·조깅)·자전거타기·
수영·등산·에어로빅댄스 등 유산소운동을
1주일에 3차례 이상, 한번에 30분 이상 하는 것이 좋다
이런 유산소운동은 근육이나 간에 축적된
글리코겐과 중성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연소시킨다
●복부비만·당뇨환자 6개월마다 간기능 확인해야●
간은 80%가 망가져도 증상이 없는 탓에
몸이 붓거나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대부분의 간기능이 손상됐을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복부 비만이나 당뇨병 환자는
최소한 6개월에 한번은 혈액 및 초음파검사를 통해
간 기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 옮 겨 본 글에서 -
|